가족체계이론가는 가족도 다른 체계와 마찬가지로 사회환경과 상호작용하며, 발달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하나의 체계로 인식한다. 또한 가족체계 안에 가족성원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하위체계가 존재하며, 하위체계 역시 가족 전체와 상호작용하는 체계로 인식한다.
형제간의 체계도 가족 전체와 상호작용한다. 즉, 가족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쉽게 말해 형제사이가 좋아야 가족 전체의 구성원의 기능역시 효과적으로 보는 것이다.
가족체계 관점에서 가족은 다음의 원칙과 규칙에 따라 기능하는 체계로 인해 된다. 첫째, 가족은 순환적 인과성 원칙에 따라 기능한다. 순환적 인과성에 따르면 한 성원의 변화는 다른 성원의 변화를 일으키고 이는 곧 다시 그 성원에게 영향을 주며 서로 상호작용한다고 보고 있다. 또한 이관점에서 본다면 개별 성원의 문제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 보는 것이 아니라. 성원의 문제에 대한 가족 전체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A의 문제가 B에게 영향을 미치고 또 B가 A에게 연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순환적 인과관계로 보는 것! 그렇다면 문제는 A의 행동에 대해 B가 어떻게 반응하는지가 곧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를 지니고 있다 b가 어떻게 대처하는냐에 따라 A의 행동이 어떠한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본다. 개인적으로 내가 아는 지인이 형제끼리 폭력을 겪고 있었는데. )
가족의 기능을 비총합성 원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전체성으로 볼 수 있다. 개인 성원의 특성을 합한 것으로 기술될 수 없다. 왜? 가족을 이해하기 위해 개별 성원의 특서오다는 성원의 행동을 연결하는 상호작용 혹은 의사소통 패턴에 주의를 더 기울여햐 하기 때문이다.
가족의 기능을 다귀결성 혹은 동귀결성 원칙으로 다룰 수 있다. 시작은 같을지 모르지만 결과는 다양한 결과가 나올 수 있는 다귀결성과 시작은 다를지 모르지만 결과는 같은 동귀결성 원칙으로 볼 수 있다. 노부모의 치매라는 가족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 어떤 가족은 기능적으로 대처하는 반면에 다른 가족은 역기능적으로 될 수 있다. 따라서 가족 조직의 영향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래서 그러면 하나의 문제를 두고 이 가족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하나? 가령 온가족이 힘을 모아서 해결해야하는 문제에 대해서 특정 인원만 노력을 기울인다든지. 아니면 의견을 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지 <역기능인지, 기능적인지> 가족 체계관점에서는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인가?, 어떠한 현상에 대해서 다양하게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직 다귀결성이 될 수 있으며 하나를 정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힘들지 않을까?)
의사소통 가족내의 모든 행동은 의사소통으로 보고 있으며, 내용과 관계 기능이 있다. 내용기능은 사실적인 정보 뿐만 아니라 관계적인 기능으로 볼 수 있다. 메타커뮤니션이라고도 한다.
가족 규칙 : 성원의 행동을 규제하거나 규정하는 명시적 혹은 암묵적 가족 규칙에 따라 상호작용과 기능을 조직화한다.
항상성 :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가족체계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규범을 규정하고 강화함으로써 항상성을 유지하려고 한다. 모든 가족 성원은 서로를 강화하는 환류고리에 따라 항상적인 균형에 기여하며, 가족규범에서 지나치게 벗어나려는 행동은 가족의 항상성을 회복하기 위한 부적 환류과정을 통해 저지한다. 만약 어떠한 문제 행동에 꾸중과 체벌로 규칙을 준수할 것을 요구한다면 이는 부적환류로 작용할 수 있다. (특이한점은 개인의 기능과 발달의 손상이 가족이라는 맥락에서 기능적이며 적응적일 수 있는데, 아동의 비행을 부모 간의 갈등을 해소하게 만들어 가족의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시도라는 차원에서 적응적인 행동으로 볼 수 있다.)
형제간의 체계도 가족 전체와 상호작용한다. 즉, 가족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쉽게 말해 형제사이가 좋아야 가족 전체의 구성원의 기능역시 효과적으로 보는 것이다.
가족체계 관점에서 가족은 다음의 원칙과 규칙에 따라 기능하는 체계로 인해 된다. 첫째, 가족은 순환적 인과성 원칙에 따라 기능한다. 순환적 인과성에 따르면 한 성원의 변화는 다른 성원의 변화를 일으키고 이는 곧 다시 그 성원에게 영향을 주며 서로 상호작용한다고 보고 있다. 또한 이관점에서 본다면 개별 성원의 문제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 보는 것이 아니라. 성원의 문제에 대한 가족 전체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A의 문제가 B에게 영향을 미치고 또 B가 A에게 연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순환적 인과관계로 보는 것! 그렇다면 문제는 A의 행동에 대해 B가 어떻게 반응하는지가 곧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를 지니고 있다 b가 어떻게 대처하는냐에 따라 A의 행동이 어떠한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본다. 개인적으로 내가 아는 지인이 형제끼리 폭력을 겪고 있었는데. )
가족의 기능을 비총합성 원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전체성으로 볼 수 있다. 개인 성원의 특성을 합한 것으로 기술될 수 없다. 왜? 가족을 이해하기 위해 개별 성원의 특서오다는 성원의 행동을 연결하는 상호작용 혹은 의사소통 패턴에 주의를 더 기울여햐 하기 때문이다.
가족의 기능을 다귀결성 혹은 동귀결성 원칙으로 다룰 수 있다. 시작은 같을지 모르지만 결과는 다양한 결과가 나올 수 있는 다귀결성과 시작은 다를지 모르지만 결과는 같은 동귀결성 원칙으로 볼 수 있다. 노부모의 치매라는 가족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 어떤 가족은 기능적으로 대처하는 반면에 다른 가족은 역기능적으로 될 수 있다. 따라서 가족 조직의 영향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래서 그러면 하나의 문제를 두고 이 가족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하나? 가령 온가족이 힘을 모아서 해결해야하는 문제에 대해서 특정 인원만 노력을 기울인다든지. 아니면 의견을 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지 <역기능인지, 기능적인지> 가족 체계관점에서는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인가?, 어떠한 현상에 대해서 다양하게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직 다귀결성이 될 수 있으며 하나를 정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힘들지 않을까?)
의사소통 가족내의 모든 행동은 의사소통으로 보고 있으며, 내용과 관계 기능이 있다. 내용기능은 사실적인 정보 뿐만 아니라 관계적인 기능으로 볼 수 있다. 메타커뮤니션이라고도 한다.
가족 규칙 : 성원의 행동을 규제하거나 규정하는 명시적 혹은 암묵적 가족 규칙에 따라 상호작용과 기능을 조직화한다.
항상성 :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가족체계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규범을 규정하고 강화함으로써 항상성을 유지하려고 한다. 모든 가족 성원은 서로를 강화하는 환류고리에 따라 항상적인 균형에 기여하며, 가족규범에서 지나치게 벗어나려는 행동은 가족의 항상성을 회복하기 위한 부적 환류과정을 통해 저지한다. 만약 어떠한 문제 행동에 꾸중과 체벌로 규칙을 준수할 것을 요구한다면 이는 부적환류로 작용할 수 있다. (특이한점은 개인의 기능과 발달의 손상이 가족이라는 맥락에서 기능적이며 적응적일 수 있는데, 아동의 비행을 부모 간의 갈등을 해소하게 만들어 가족의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시도라는 차원에서 적응적인 행동으로 볼 수 있다.)
728x90
'북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햇살론 17 부결 자꾸 부결되는 이유는? (0) | 2019.12.10 |
---|---|
정서적 단절과 치료기법(가계도, 삼각관계) (0) | 2019.12.07 |
가족 규칙과 가족 신화 (0) | 2019.12.05 |
사티어 의사소통 유형 및 대처유형 (0) | 2019.12.04 |
경험적 가족치료(사티어) (0) | 2019.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