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리뷰!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구성요소

목적 : 정신적, 정서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건강을 회복시키고 1, 2, 3차 에방활동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1,2,3차 예방활동이란 무엇일까? 횟수를 통해 예방하는 것을 말하는 가? 목적이라고 한다면

 

대상 : 정신건강사회복지의 1차적 대상은 정신적, 정서적 장애를 가진 클라이언트와 가족이다.

>1차적으로 정신적,정서적 장애를 가진 클라이언트를 지원해주고 그 가족들 까지 지원해주려고한다는 점 기억하자

 

주체 : 정신건강사회복지 서비스의 실천주제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정신건강임상심리센터, 정신건강간호사, 작업치료사등이 있다. 개인 및 가족은 서비스를 받는 대상임과 동시에 서비스를 행하는 주체로 볼 수 있다. (이들이

 

작업치료사란 무엇인가? 손상이나 질병, 질환, 장해를 지닌 환자들에게 일상 생활의 활동들을 치료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치료를 말한다. 손상이나 질병, 질환, 장해로 인한 장애, 사회활동의 제한, 사회참여의 위축때문에 일상적인 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환자를 훈련한다. 다양한 상황속에서 육체적, 인지적, 심리사회적 문제를 다루며, 가정과 학교, 직장, 지역 사회 등의 환경과 역할에 참여하도록 돕는다.

 


장소 : 서비스 실천이 이루어지는 장소는 정신건강시설인 정신의료기관, 정신재활시설,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요양시설,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이 있으며 학교정신건강시설, 치매노인보호 전문기관, 아동 관련 전문기관등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개별 수준의 사회복지실천뿐만 아니라 집단, 가족, 지역사회 개입 등 통합적인 사회복지실천 방법을 적용하여 개입한다


일반적으로 정신건강 분야의 사회복지 개입의 시작은 1905년 보스턴 소재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cabotcannon이 사회사업 프로그램을 처음 시도함으로써 시작되었다고 본다. 1906년 뉴욕주 자선협회의 후원을 받아 주립정신병원에서 사회사업가가 일을 하였고, 그 후 점차적으로 정신병원에서 사회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이 증대되는 추세를 보였다.

 

무엇보다도 세계 제 1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군인들이 높은 정신질환 현상을 보이는 것을 경험하고, 아동들의 정서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신건강서비스의 욕구가 커짐에 따라 정신의료사업가의 영역도 확대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추세는 정신건강 분야 사회복지사 인력의 증가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1918년 처음으로 스미스 대학 주최하에 정신건강을 위한 국가위원회와 보스턴 종합병원 정신과가 합동으로 정신의료사회사업가 훈련프로그램으 마련하였다. 정신건강 영역에서 사회복지사의 참여는 1920년과 1930년대 정신건강 분야에 큰 영향을 끼친 프로이트 학파에 의해 더욱 확대되어 사회복지사는 수많은 진보적 진료소에 정신치료를 수행하였다.

 

특히 1930부터 40년까지 정신건강위생 운동의 영향으로 전국 각지에 아동상담소가 생기면서 일어나게 된 아동상담운동은 정신분석학의 영향을 받아 무의식, 방어기제, 인간관계, 저항, 환경, 가정 등에 대한 이해가 장애아동을 치료하는데 유용해짐으로써 사회복지와 정신건강이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갖게되었다.

 

정신의료사회사업의 역할은 제 2차 세계대전을 치르면서 1940년과 50년대에 더욱 확장되었는데, 정신병원 및 종합병원 정신과에서 주도하는 팀의 일원으로 많은 사회복지사가 채용되면서 임상심리사와 간호사가 함께 일을 하였다. 증가하는 정신과 환자수에 비해 정신과의사의 인력이 부족하게 되자 정신의료사회사업가는 장기입원환자와 위기개입 사례까지 다루게 되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에서는 군대 내의 사회사업서비스를 적십자가 담당하다가 정신의료사회사업협회의 노력으로 군대 내에 정신의료사회사업서비스가 생기고 군사회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사회사업서비스의 발전은 직접적 개별서비스의 범주를 넘어 예방적 프로그램의 시도와 교육프로그램을 주관하게 되었으며 1947년에는 새로 구성된 의료부대의16개 전문직의 하나로 정신의료사회사업이 포함되었다. 한국전쟁시에는 일선에서 위기개입을 중심으로 하는 정신건강서비스가 시도되면서 우리나라에서 정신의료사회사업이 소개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50년 대 이후 탈원화와 인도주의적 시각 등으로 지역사회정신건강사업이 등장하였다.(지역사회라는 말이 들어간갈 유의해서 보면 지역사회중심으로 살펴본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와 가은 지역사회 정신건강 개념의 등장은 정신건강 분야의 사회복지의 개입에 일대 변혁을 초래햇다.

 

탈시설화 정책에 의해 장기입원시설로부터 퇴원한 만성 정신질환자들을 지역사회에서 치료, 재활, 보호하는 지역정신건강사업의 확대는 지금까지의 사무실 중심의 상담 위주 접근에서 지역사회중심의 사회적 재활과 직업재활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신의료사회사업가는 환재 개인과 가족에 대한 치료역할뿐 아니라 지역사회 자원체계 개발 및 활용과 환경의 조정을 통한 사례관리에 많은 관심을 갖게되어 직접적 서비스모델 외에 간접적 서비스 모델의 개발과 실천에 관심을 두게 되면서 자문 지도감독, 교육, 지역사회 조직을 활용하는 추세가 강하여졌다. 이러한 전문사회사업가의 접근 방법의 변화는 사회사업의 전문가 모델과 일반주의자 모델에 대한 이슈를 제기하였으며, 지역사회에서 활동하던 일반사회사업가들도 만성 정신장애인에 개입에 대거 참여하게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