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족치료 모델 6가지

가족치료 모델 6가지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

 

미누친은 많은 아이들을 만나다보니 비행청소년의 문제들은 아이들을 둘러싼 가족의 문제이고 이 아이가 살고 있는 맥락에서 이야기 해야한다고 생각해서 구조적 치료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가족의 문제를 무엇으로 보냐면 가족구조의 역기능! 

 

가족구조가 역기능적이기 때문에 가족에게 문제가 발생한다고 보았습니다. (ex 가족이 지나치게 밀착되어있거나 경계가 불분명하거나 가족구성원들간의 관계가 너무 유리되어있거나 가족 부모와 의 관계가 너무 불균형 되어있어서 문제가 생긴다고 보았음.)

 

?가족 구조의 불균형, 역기능적인 가족 구조 ?

 

미누친의 주요기법

 

역기능적인 가족구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개입을 하여야하는데요. 특히 합류하기는 라포형성을 위해서 초기에 사용하는 것입니다. 

 

실연(enactment) : 영어를 그대로 해석해보면 행동을 하게 하는 것입니다! 낭비벽이 너무 심한 남편 때문에 부인이 불만을 많아 계속 부부 싸움이 일어나고 있다. 사회복지사가 ' 3개월 간 각자의 필요 때문에 돈이 얼마인지 지금 서로 부부간에 대화를 한번 나눠보시죠?' > 역기능적 가족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을 서로 해보게 하는 것이다. 사회복지사 앞에서! 직접 한번 대화를 나눠보세요! 상호작용을 면담 상황에서 하게 하는 것입니다. 

 

사회복지사가 실제로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 지 확인할 수 있으며 역기능적 상호작용을 교정할 수 있다.!!

 

합류하기 : 사회복지실천시간에 클라이언트와 신뢰롭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라포 형성 하는 것이라하는데 가족 치료도 마찬가지로 사회복지사가 이 클라이언트 가족을 문제가 있고 역기능적이고 병리적으로 생각을 해서 이 가족을 대한다면 가족은 거부감이 들고 사회복지사를 경계하게 됩니다.

 

우리가족을 문제 투성이 가족으로 보는 것에 대해서 기분도 좋지 않으며 원조과정에 깊게 참여하려고 하지 않음. 라포를 형성하면서 친밀하게 하기 위한것이 합류하기임입니다.

 

치료자가 가족과 인간적인 관여를 하는 것 가족의 현실상황에 들어가 함께 겪는것 ex 아동청소년에게 개입하는 사회복지사인 경우 이왕이면 아이들이 쓰는 은어와 함께 써주거나 아이들과 비슷하게 옷을 입는 거나 가족대상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사가 가족의 상호작용으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가족이 자주 쓰는 언어를 사용, 행동을 병리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냥 인정해주는 것 이 자체를 합류라고 볼 수 있음.) 부분적으로 사회복지사의 자기개방 유사성을 발견해주는 것만으로도 친밀성을 발견시켜 주는 것!!

 

과제부여 : 가족에게 과여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면담하는 중에 3분동안 아이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들어보세요. 면담이 끝난 이후에 일상생활을 하면서 수행할 수 잇는 과제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역기능적) 균형 깨뜨리기 : 아내의말을 잘듣지 않고 혼자 결정하고 독불장군처럼 행동하는 아버지. 지나치게 아버지에게 권력이 집중되어있는 균형을 깨뜨리는 기법. 아버지에게 가진 권력을 도전하는 것! 역기능적 균형은 깨지지만 진정한 균형을 찾을 수 있게 됨.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

왜 경험적 이라는 말을 썼을까요? 그 이유는 치료목표에서 할 수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들이 겪고 있는 현재의 문제에 대해 적절한 성공적인 경험을 하게 하여 문제의 해결을 시도하는 것인데요. 

 

사티어에 대해 일단 이야기해보자면 50년동안 가족을 만나오면서 가족 성원들간에 하는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에 관심을 두었습니다. 의사소통에 있어서 메시지의 일치성 불일치성을 강조하였습니다. 가족성원들이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면서 어떻게 성장하는지 관심을 두었습니다. 

 

정서가 메말라있고 비난하고 회피적인 가족은 역기능적 가족으로 보았습니다. 이런 역기능적 가족을 건강한 가족으로 바뀌게 하기 위해서 성장할 수 있는 경험을 많이 해주는 것이 경험적 가족치료의 목표입니다. 

 

 사티어에서 등장하는 자아존중감은 가족이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생애초기에 부모와 자녀가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형성되고 결정된다고 합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적절한 반응을 못하거나 자기효능감을 잘 발달시킬 기회를 갖지 못할경우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갖지 못하고 너무 초이성적으로 지적많이할경우 자아의 자아존중감은 낮아진다고 합니다. 

 

보웬의 다세대치료

 

보웬은 어떤 가족이 지금 현재 문제를 격고있는 것은 이 가족 성원의 부모 세대 그 부모의 세대에서 생긴 문제들이 대를 이어서 생긴문제라고 보는 것, 남편과 아내의 문제가 아니라, 남편은 부모님간의 관계에 해결 되지 않는 갈등, 미해결된 갈등이 그대로 내려오는 것으로 봅니다.

 

과거로부터 거슬러 올라가서 해결해야하는데... 부모님이 이미 돌아가버리셨을 경우에는 다른 기법을 통해서 과거의 미해결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자아분화는 내 자신에 대해서는 나의 감정과 생각을 분리해서 생각할 수 있으며 타인에 대해서는 나와 타인을 분리할 수 있는 분화입니다. 

 

자아분화수준이 높은 건강한 사람은 너무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감정과 이성을 분리해서 생각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에게 지나치게 휘둘리지 않고 눈치를 보지 않고 독립적인 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추가적으로 설명하자면 자아분화가 높은 사람은 이성과 감정을 구분할 수 있으며 균형을 이룰 수 있으며 충동적으로 감정에 휘둘리지 않습니다. 그리고 타인관의 관계에서 나만의 분명한 입장 독립성이 있기 때문에 휘둘리지 않습니다.  

 

자아분화가 안된 사람들은 충동조절이 안되고 감정에 휩싸이게 됩니다. 굉장히 감정적이고 충동적으로 행동하고 타인과 자신을 구분하지 못해서 타인에게 이끌리게 됩니다. 

 

- 삼각관계

 

두사람 사이에서 긴장이나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두사람이 직접 풀기에는 너무 힘들어하고 피곤하고 지쳐해하며 능력도 안될 경우 주변에 있는 굉장히 있는 취약한 사람을 우리의 관계속에 데리고 옵니다. 이것을 삼각관계라고 합니다.  

 

치료의 목표 : 자아 분화!!! 탈삼각화!

 

 

 

 

 

728x90